그린본드는 환경 친화적인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되는 채권입니다. 재생 에너지, 에너지 효율 개선, 환경 보호 등에 투자됩니다. 투자자들은 사회적 책임 투자(SRI)의 일환으로 …
기본자본(Tier 1)은 은행이 보유해야 하는 가장 핵심적인 자본입니다. 이는 예상치 못한 손실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며, 보통주 자본과 이익잉여금 등이 포함됩니다. 기본자본이 충분…
금리선물은 미래 일정 시점에 특정 금리로 거래를 할 수 있는 금융 파생상품입니다. 금리 변동 위험을 헤지하거나 투자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금융기관과 투자자들이 금리 리스크 관리를 위해 사용하…
글래스-스티걸법은 1933년 미국에서 제정된 금융 규제 법안으로,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업무를 분리했습니다. 은행의 과도한 위험 부담을 막고 금융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법입니다. 19…
근원인플레이션율은 식품과 에너지 등 가격 변동이 큰 품목을 제외한 물가 상승률입니다. 일시적 요인에 의한 변동성을 줄이고, 기초적인 물가 상승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중앙은행은 통화…
그림자 금융은 전통적인 은행 시스템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금융 활동을 말합니다. 헤지펀드, 투자신탁, 금융 파생상품 등이 포함됩니다. 규제 사각지대에 있어 금융 위험이 투명하게 관리되지 않을 …
규제 샌드박스는 새로운 기술이나 서비스가 기존 규제에 얽매이지 않고 일정 기간 동안 시험 운영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시장에 빠르게 도입되고, 규제의…
국제투자대조표(IIP)는 한 국가의 해외 자산과 부채를 체계적으로 나타낸 통계입니다. 국가가 보유한 대외 투자 규모와 해외에서 빌린 자금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가의 대외 …
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s, BOP)는 한 국가가 일정 기간 동안 외국과 벌인 모든 경제 거래 내역을 기록한 통계입니다. 상품·서비스 무역, 투자, 이전 등 모든 자본 이동…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국민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금 등 소득을 의미합니다. 국내에서 발생한 소득과 합산해 국민총소득(GNI)을 계산합니다. 이는 국가의 대외 경제 활동 규모를 …
금본위제는 화폐 가치를 금에 직접 연결해 통화 발행을 제한하는 제도입니다. 과거 주요 국가에서 사용했으며, 금 보유량만큼 화폐를 발행해 통화 안정성을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금 공급 한계와 경…
금리평가이론은 금융 자산의 이자율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투자 위험, 기간, 시장 상황 등이 금리에 영향을 줍니다. 대표적으로 기대이론, 유동성 선호 이론 등이 있습니다. …
국부펀드는 국가가 보유한 자산을 관리해 장기적으로 국가 재정을 안정시키고 경제 발전을 지원하는 펀드입니다. 주로 해외 자산에 투자하며, 석유나 천연자원 수입 등 초과 자금을 운용합니다. 국부…
국민총소득(GNI)은 일정 기간 동안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말합니다. 국내총생산(GDP)에 국외 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한 값으로, 국민의 경제 활동 규모를 나타냅니다. GNI는 국…
금융안정지수는 금융 시스템의 건전성과 안정성을 수치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은행 건전성, 신용 위험, 자산 시장 동향 등을 종합해 산출됩니다. 지수가 높으면 금융 안정성이 좋다는 뜻이며, 낮으…